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
최강의 유도고수 진정한 강자 '유도의 귀신' 기무라 마사히코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6. 8. 29. 12:00
서장. 전설의 대결 쇼와 26(1951년)년 10월... 리오 데 자네이루의 마라카난·스타디움...세기의 유술 시합 단판 승부가 벌어졌습니다. 한때 세계 최강의 격투가라는 칭호까지 얻었던 전설의 유도가 '마에다 미츠요'의 후계자 엘리오·그레이시(170cm/63kg) 그리고 기무라 전에 기무라 없고 기무라 후에 기무라 없다는 당대 최강의 유도가기무라 마사히코(175cm/85kg)의 3 R 각 라운드당 10분의 결투.(기무라의 키에 대해서는 170이라는 자료도 있고 178이라는 자료도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보편적인 것은 175였다는 자료입니다.이에 175로 일단 쓰기로 합니다. 모 스포츠 신문에 나온 UFC의 역사라는 글을 보면 무슨 기무라와 가토가 전부 100킬로가 넘는다고 해뒀던데, 그건 제대로 자료를..
-
강도관 사상 '최강의 사나이' 유술의 대가 "사이고 시로"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6. 8. 28. 12:00
1. 사이고 시로 탄생 사이고 시로는 원래 아이즈번 출생(1863)으로 말투에 아이즈 사투리가 심한 편이었다고 합니다. 키는 일본인 중에서도 작은 편이라 153센티 정도였다는게 정설입니다. 근데 사이고는 남들과는 다른 신체적 특성이 있었는데...바로 사이고의 발가락은 무척 길어 물갈퀴 같았다고 합니다.(곰발톱 같았다는 말도 있고, 문어발과 같았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하여간 발가락이 굉장히 길었던 것은 사실이었다 합니다.)사이고 시로 사이고는 당시 아이즈 출신이라면 보통 익혔다는 아이즈의 오토메(오토베가 아니라 오토메라고 합니다, 이에 정정합니다. 이것은 고유 명사가 아니라, 각 다이묘-영주 쯤 되겠군요-가 다스리는 지역마다 지역마다 할당된 각 지역의 고유 유술을 통칭하는 말이라고 합니다. 타 지..
-
극진공수도 창시자 최영의(최배달)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6. 8. 27. 11:52
극진공수도 창시자 최영의 선생님 글입니다. "네가 젊은너희들에게 하고싶은 말은.......... 남자한테 제일 중요한것은 야심이다.. 돈을 잃은것은 작은것이다 신용은 중요한것이다. 그러니 신용을 잃어 버리면 안된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용기다. 용기를 잃어버린것은 전부 잃은것이다..... 예전에 나의 도장으로 전화가 왔다 극진수련생들이 야쿠자들과 싸워서 사회에 물의를 일으켜서 도장운영이 힘들다는것이였다. 난 싸운 제자들에게 단번에 때려치라고 했다. 그런 정신으로 할꺼면 도장은 의미가 없다고..... 너희들 길에서 누가 너희어깨를 치고 발을 밟고 시비를 건다면 사과를 해라 그런대도 싸움을 건다면 싸워라..... 무엇때문에 가라데를 수련했는데 그런 패기도 없다면 가라데를 때려쳐라 적에게 등을 보이지 ..
-
영화 "'아저씨" 원빈의 사용 무술 칼리 아르니스, 에스크리마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5. 3. 22. 15:08
영화 "'아저씨" 원빈의 사용 무술 칼리 아르니스, 에스크리마 실전 무술인 필리핀의 칼리 아르니스는 호신술로 각 국 특수부대, 경찰들이 배우는 실전지향적 무술이며, 칼리 라고도 알려져 있다. 영화 ‘아저씨’로 화제가 되었던 아르니스는 처음 농부(섬 주민)들이 일을 하다가 그 모습 그대로 싸운 것이 전장무술로 발전한 무술이다. 그렇기에 매우 실전 지향적이다. 하지만 요즘 전쟁도 없고 싸움하는 시기가 아니기 때문에 호신술로 각 국 특수부대, 경찰들이 배우고 있으며 국제화 되어 남녀노소 이 무술을 배울 수 있게 되었다. 아르니스는 칼리 아르니스, 에스크리마 라고도 불리는데 에스크리마는 스페인어로 필리핀 무술 아르니스를 일컫는 말이고 칼리 아르니스는 힌두교의 죽음의 여신인 ‘칼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 하였다, ..
-
일대종사, 영화속 일선천(장첸)의 팔극권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3. 11. 19. 15:36
일대종사, 영화속 일선천(장첸)의 팔극권 2013년 8월에 개봉된 영화 일대종사 (一代宗師, The Grandmaster)에서 일선천 역으로 장첸이 표현한 팔극권 입니다. 최초로 팔극권을 다룬 영화이며 영화적인 과장은 있으나 실전에서 기법적인 원리에 있어 나름 잘 표현되었다고 생각됩니다. 팔극권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외형의 동작보다 몸으로 부터 친다는 팔극권에서의 기본 원리를 생각하고 보면 좋겠네요. 참고로 일선천의 모토 인물은 시대적 상황이나 열사 이벤트등으로 볼때 무단 팔극권을 만드신 이서문 노사의 마지막 제자였던 유운초 노사를 배경으로 한것 같습니다. 물론 유노사님이 이발소를 운영한 것은 아니지만 일본 침약시기에 열사를 했다거나 대만으로 건너온점 등 대부분의 설정이 유사합니다. 개인적으로도 팔극권이..
-
현대사회에서 무예수련의 의미는 무엇일까?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1. 5. 14. 22:39
아래의 글은 2006년 7월경에 네이버 무예동에 올렸던 저의 글 입니다. 은빛늑대 입니다. 그동안 길다면 긴시간동안 무예동과 함께 해 오면서 그다지 많은 글을 올리지는 못한거 같습니다. 사실 어쩌면 무예동과 같은 온라인 동호회에서의 글의 파장이 생각보다 꽤 크다는 것을 알기에 짧은 지식과 경험으로 이런저런 생각들을 글로 적는것이 조심스러웠기 때문이란 것이 맞을겁니다. 며칠전 사쉼님이 올린 글을 읽고 한동안 곰곰히 생각해 보았고, 그래서 앞으로는 미력하나마 제 생각과 경험들을 올려볼 생각입니다. 이유는 아직 저보다 수련경력 짧거나 초보자 분들도 분명 있을 것이고, 그분들에게 부족한 글이나마 수련에 도움이 되길 바라기 때문입니다. 잡설이 길었네요. '현대사회에서 무예수련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는 무예 ..
-
그레이시(브라질) 유술 주짓수의 창시자 콘데코마 마에다 미츠요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1. 5. 12. 01:56
콘데코마(Conde Koma) 마에다 미츠요 1. 마에다 히데요-전설의 시작. 마에다 미츠요는 아오모리 현 출신이었습니다. 본명은 마에다 히데요였고, 강도관 입문후에 마에다 미츠요로 개명합니다. 유도의 본관인 강도관이 창립되기 2년전인 1880년에 태어났다고 합니다.(1878년이라고 기록된 자료도 있습니다.) 강도관의 창립자이자 유도의 창시자였던 가노 지고로와는 21살 차이죠^^ 아버지는 스모 선수로 이름이 높았다고 하죠. 비록 마에다 히데요의 체격은 작았으나 힘만큼은 아버지의 피를 물려받아 장사였다고 합니다. 사실 그의 유년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는 거의 없습니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자료라는 게 별로 확실치 않습니다. (만화책 '콘데 코마' 때문에 그의 일대기가 꽤 잘못 알려지게 되었는데요, ..
-
이소룡과 최영의(최배달)에 대한 몇가지 오해무림 객잔/무예 이야기 2011. 5. 6. 01:11
세상 사람들이 이소룡(브루스 리)과 최영의(최배달)에 대해 몇 가지 오해를 하는 점이 눈에 자주 띄어서 정보를 제공한다. 이소룡에 대한 오해 이소룡을 단순히 영화배우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는 영화배우이기 이전에 무술가였다. 무술이론에 해박했고 도장을 경영하며 여러 제자들을 키웠다. 그의 아내도 도장을 경영하며 만났다. 그가 무술대회에서 시범연무를 하는 것이 눈에 띄어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하면서 경력을 쌓았다. 그리고 여러 연예인, 유명인사들에게 무술지도를 했다. 그러면서 영화스타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게 된 것이다. 그는 여러 무술을 섭렵했으나 그가 특히 많이 배운 무술이 엽문 사부에게 배운 영춘권이며, 그 후 수많은 무술인들과 교류하며 여러 무술을 연구하고 노장철학을 중심으로 "절권도"..